![]() |
서울시청 |
삼해주는 소주·약주, 판소리는 적벽가·심청가·춘향가로 구분되는 세부 분야별 공모를 실시한다.
서울시는 1989년 처음으로 무형유산을 지정한 이후 현재까지 총 57개 종목을 지정, 관리해왔다. 현재 42명의 보유자와 14개 보유단체가 서울의 문화적 정체성을 담은 무형유산 전승에 힘쓰고 있다.
이번 공모는 서울특별시무형유산 이수자뿐 아니라 일정한 자격과 기량을 갖추고 서울에서 무형유산 전승활동을 이어온 일반 전승자도 지원할 수 있다. 실력 있는 무형유산 활동가 모두에게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선발 과정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신청자는 서류심사, 현장조사, 기량심사 등 단계별 인정 조사와 무형유산위원회 심의, 보유자 인정 예고절차 등을 통해 보유자로 최종 선정된다. 각 종목별 신청 자격과 심사 기준은 서울시 누리집 고시·공고 게시판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관련 절차와 법령은 서울무형유산교육전시장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하다.
해당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조사단이 면밀하고 객관적인 지표로 보유자 인정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는 무형유산위원회의 사전검토 심의, 보유자 인정 예고, 최종 심의를 거쳐 서울특별시무형유산 보유자로 인정받게 된다.
한광모 서울시 문화유산보존과장은 “이번 공모는 우리 고유의 무형유산이 단절 없이 미래세대에게 전승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 무형유산이 현대 사회에서도 생명력을 유지하며 온전히 이어질 수 있도록 종합적인 지원책을 마련해 적극 추진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정진호 기자 jsako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