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민생경제 살리기 총력… 추경으로 지역 활력 높혀

지역사랑상품권, 기업 투자보조금 등 민생경제 예산 144억원 증액

김경철 기자 jsakor@naver.com
2025년 05월 20일(화) 11:50
전북특별자치도청
[한국시사경제저널]전북특별자치도가 침체된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민생 회복에 속도를 내기 위해 2025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으로 총 786억9천만원을 편성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본예산 643억원 대비 144억원(22%) 증가한 규모로, 소상공인, 전통시장, 중소기업, 창업 생태계 등 실질적인 지역경제 회복을 하는데 중점을 뒀다.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지원 강화'

우선, 전북도는 지역 소비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규모를 250억원 추가 확대해 전체 규모를 약 1조 3,300억원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는 위축된 골목상권 회복을 위한 생활 밀착형 지원으로, 소상공인의 매출 회복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세 소상공인들이 폐업이나 노령, 퇴직 등으로 인한 생계위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 공적 제도인 노란우산공제 가입 지원금도 기존보다 2배 인상한 월 2만원으로 확대 지원한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도내 9개 시장에 2억4천만 원을 투입해 시장축제를 지원하고, 화재·재해 예방시설 개선과 특색 있는 전통시장 육성사업도 병행 추진한다.

'기업의 성장 기반 구축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제 투자’'

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투자보조금 예산도 35억 원 증액했다. 이에 따라 약 877억 원 규모의 신규 투자와 130여 개의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

특히, 새만금 산업단지에는 320억 원을 투입해 2027년까지 중소기업 성장센터를 건립함으로써 기술력 있는 기업 유치와 밸류체인 완성을 도모한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을 위해 새롭게 추진되는 ‘지역혁신 선도기업 혁신성장 지원사업’에는 12억 원이 신규 투입되며, 해외규격인증 획득, 관세 대응 바우처, 사회적경제기업 판로 지원, 전문 컨설팅 등 지역산업 마케팅 지원사업도 확대된다.

이와함께, 작년 6월에 지정된 기회발전특구 내 투자기업을 위한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청년도전 지원사업, 청년성장 프로젝트 등 산업별 인력난 해소와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한 다양한 일자리 사업도 추진된다.

'창업기업에 대한 투자로 전북형 창업 생태계 구축'

도는 창업기업의 성장을 돕기 위해 전북형 벤처펀드에 41억 원을 추가로 투입했다. 올해 말까지 24개 펀드, 약 9,000억원을 조성하여 민선 8기 내 1조원 결성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다.

벤처펀드는 초기 창업기업의 안정적 성장, 중소‧중견기업의 개방형 혁신 지원과 스케일업, 전북 투자생태계의 유동성 공급 촉진을 위한 마중물 역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인태 기업유치지원실장은 “이번 추경은 단순한 예산 증액이 아니라, 도민의 삶에 직접 와닿는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전략적 투자이다”라면서, “지역 상권부터 기업 성장, 창업 생태계까지 지역경제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어 경제회복의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경철 기자 jsakor@naver.com
이 기사는 한국시사경제저널 홈페이지(www.kcejournal.co.kr)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kcejournal.co.kr/article.php?aid=16957857958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21일 00: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