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주하계올림픽 유치 주요 시설 현장점검 |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28일 올림픽 주경기장으로 활용이 검토 중인 전주월드컵경기장과 전주시 덕진구 장동 일원에 조성 중인 복합스포츠타운 현장을 차례로 방문해 시설을 직접 점검하고, 유치 전략 구체화에 박차를 가할 것을 주문했다.
이번 현장 방문은 지난 19일부터 진행 중인 도내외 36개 경기장에 대한 일제 조사 일환으로, 국제 기준 적합성과 활용 가능성, 향후 IOC 실사 대응 방안 등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날 점검에는 김관영 지사와 전주시장, 관계 공무원, 체육시설 전문가 등 7명이 참석해 경기장 시설 전반을 꼼꼼히 살폈다.
첫 점검지인 전주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월드컵 개최 경험이 있는 전주의 대표적인 체육시설로, 전북도는 이곳을 하계올림픽 개·폐회식 및 축구 결승전이 열리는 주경기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다만 현재 3만5천 석 규모의 관람석은 올림픽 기준에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으며, 준공 20년이 넘은 노후시설에 대한 전면적인 보수 필요성도 함께 논의됐다.
이어 찾은 전주시 복합스포츠타운은 총 6,843억 원을 투입해 2026년부터 2033년까지 8년간 조성되는 대규모 체육 인프라로, 전주 올림픽 유치의 핵심 경쟁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체 부지 64만7천㎡ 규모에 육상경기장, 야구장, 실내체육관, 국제수영장, 스포츠가치센터, 실외체육시설, 주차장 등이 단계적으로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육상경기장과 야구장은 공정률 40% 수준으로 공사가 한창이며, 실내체육관은 올해 착공해 10%의 공정률을 보이고 있다. 국제수영장, 스포츠가치센터, 실외스포츠시설 등은 향후 착공을 앞두고 있으며, 관람객 편의를 위한 1,500면 규모의 지하·지상 주차장도 2029년부터 조성될 계획이다.
김관영 도지사는 “우리 여건을 냉정하게 분석해 실현 가능한 개선책을 마련하겠다”며 “복합스포츠타운은 올림픽 유치 경쟁력을 높일 핵심 자산으로, 도와 시가 힘을 모아 성공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도는 이번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장 배치안 초안을 도출하고, 경기장별 맞춤형 시설 개선계획을 수립해 전주하계올림픽 유치 가능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